장애인 활동지원사는 단순히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역할을 넘어서, 장애인이 독립적이고 존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력자입니다. 특히 지체장애(신체적 장애)를 이해하고, 장애 유형별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체장애의 이해, 특히 척수장애의 특성과 활동보조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1️⃣ 지체장애의 이해
1. 장애의 원인과 특성
지체장애는 사지(팔다리), 체간(몸통), 관절, 근육 등 신체적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장애를 말합니다. 선천적 원인(뇌성마비, 선천성 기형 등)과 후천적 원인(사고, 질병, 외상 등)이 있습니다. 지체장애는 척수장애, 절단, 근위축증, 근골격계 질환 등으로 구분되며, 그 중에서도 척수장애는 활동지원사가 이해해야 할 중요한 영역입니다.
2️⃣ 척수장애란 무엇인가?
척수(Spinal cord)는 뇌와 신체를 연결하는 신경다발로, 운동, 감각, 자율신경 기능을 담당합니다. 척수에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 부위 이하의 운동 능력, 감각, 배뇨·배변, 성기능, 호흡 기능에 장애가 나타납니다. 척수는 해부학적으로 경추(Cervical), 흉추(Thoracic), 요추(Lumbar), 천추(Sacral), 미추(Coccygeal)로 나눌 수 있으며, 손상 부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도 다릅니다.
3️⃣ 척수의 부위별 손상과 특성
(1) 경추 손상 (C1~C8)
경추 손상은 목 부위 척수 손상으로, 가장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C1~C4 손상: 사지마비(Quadriplegia) 발생.
➡️ 호흡근 약화 → 인공호흡기 필요할 수 있음
➡️ 목, 어깨 움직임 제한, 전동휠체어 필요 -
C5~C8 손상: 사지마비이지만 일부 팔과 손의 움직임 가능
➡️ C5: 어깨, 이두근 움직임 가능 (팔꿈치 굽히기)
➡️ C6: 손목 신전 가능
➡️ C7: 팔꿈치 폄 가능, 약한 손가락 움직임
➡️ C8: 손가락 굽힘 가능
📝 경추 손상자는 보조기구 사용, 일상활동 보조, 배뇨·배변 관리 지원이 필요하며, 호흡·흡인 관리가 중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2) 흉추 손상 (T1~T12)
흉추 손상은 가슴 부위 척수 손상으로, 하지마비(Paraplegia)가 발생합니다.
-
팔과 손 기능은 정상
-
가슴 아래의 감각 소실, 복근·몸통 균형 유지 어려움
-
T6 이상 손상: 자율신경 반응 문제 → 자율신경 과반사 위험
➡️ 체위변경, 기립성 저혈압 예방, 장·방광 훈련, 피부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3) 요추 손상 (L1~L5)
요추 손상은 허리 부위 척수 손상으로, 하지마비가 발생하나 몸통·상지 기능은 정상입니다.
-
보행 보조기구(지팡이, 보행기, 보조기 등) 사용 가능
-
장·방광 기능 장애
-
하지 근력 약화, 발목·발 기능 저하
✅ 요추 손상자는 재활을 통해 독립보행 가능성 높음, 이동·화장실·위생 지원 중심으로 활동지원이 이루어집니다.
(4) 천추 손상 (S1~S5)
천추 손상은 엉치뼈 부위 척수 손상으로, 장·방광 조절 장애, 골반 하부 감각 저하가 나타납니다.
-
다리 근력 대부분 유지
-
배뇨·배변 조절 문제, 성기능 장애
➡️ 이 경우 방광 훈련, 피부 위생, 감염 예방 중심의 지원이 중요합니다.
(5) 미추 손상 (Co1)
미추 손상은 드물며, 꼬리뼈 주위의 감각 소실, 좌위 시 통증 정도의 경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주로 앉을 때의 불편함, 욕창 예방 등을 관리하면 됩니다.
4️⃣ 척수장애의 공통적 특성
-
운동기능 장애: 마비 범위는 손상 높이에 따라 다르지만, 상지·하지 기능 저하
-
감각기능 상실: 통증, 온도, 촉각 감각이 저하 → 상처, 욕창 위험
-
자율신경 기능 장애: 배뇨·배변, 성기능, 혈압조절, 체온조절 문제
-
2차 합병증: 욕창, 요로감염, 골다공증, 폐렴 등
✅ 예방적 관리, 주기적 체위 변경, 피부·호흡·배뇨 관리가 필수
5️⃣ 활동보조 자세와 지원방법
(1) 활동보조의 기본자세
활동보조는 단순히 “대신 해주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의 주체적 선택과 참여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항상 “물어보기 → 설명하기 → 허락받기 → 함께하기”를 기억하세요.
예시:
“잠시 휠체어로 이동해도 괜찮으신가요?”
“체위 변경해드리겠습니다. 혹시 불편하신 부분 있으신가요?”
✅ 장애인 당사자의 의사와 선택권을 존중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2) 유의할 지원사항
-
안전 확인: 휠체어 브레이크, 안전벨트 확인
-
프라이버시 존중: 의복 교체, 위생관리 시 가림막 사용
-
과잉보조 금지: 본인이 가능한 일은 직접 하도록 격려
-
압박궤양 예방: 주기적 체위 변경, 피부 관찰
-
자율신경 과반사 주의: 상반신 홍조, 발한, 혈압 상승 시 즉시 조치
-
장·방광 관리: 카테터, 배뇨보조 시 감염 예방
📝 척수장애인은 작은 상처도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과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초보 장애인 활동지원사로서 척수장애를 이해하는 것은 보다 안전하고, 존엄하며, 전문적인 지원의 시작점입니다. 장애인 당사자의 주체성, 권리, 개별적 욕구를 존중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활동지원사로서 성장하시길 응원합니다.
장애인 활동지원은 기술적 지원을 넘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맺는 일’임을 잊지 마세요.